정부의 기후대응 댐 후보지에 지천댐이 포함되면서 청양지역 여론은 찬·반으로 대립하고 있다.청양군민들은 환경부와 충남도가 발표한 정보가 적어 어떠한 판단을 내릴 수 없는 상황이라며, 다목적 댐이라는 역할과 예상 저수용량 등만 발표됐을 뿐 정확한 용도에 대한 설명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런 가운데 지역 주민들은 ‘댐 건설 추진위원회’와 ‘댐 건설 반대 대책위원회’로 나뉘어 찬반 입장을 내놨다. 추진위는 댐 건설 시 관광 인프라 기반 조성, 생활인구 유입으로 지역경제발전은 물론 청양군 소멸을 막을 수 있다며 환영하고 있고, 대책위는 재산권 침해와 일조량 부족 등으로 농축산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반대 입장을 주장하고 있다. 9일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청양군 장평면 지천·죽림리와 부여 은산면 거전·용두리 일원에 가칭)지천댐을 건설한다는 것.5,000억 원이 투입되며 관광 인프라 시설도 조성된다. 또한 저수용량은 2800만~5900만㎥ 이 될 것으로 추정되며 유역면적은 193㎢, 용수 공급량은 1일 11만㎥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충남도는 하루 약 38만 명에게 먹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충남지역의 안정적 물 공급이 가능하고 기업유치에도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충남도 한 관계자는 “댐에서 직접 취수하지 않기 때문에 상수원 보호구역 등 규제가 미발생할 것”이라며 반대 주민이 내세운 개발 제한 우려를 반박했다.댐 추진위원회는 “청양군이 소멸위기에서 벗어날 마지막 기회”라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성우 지천댐 건설추진위원장은 “반대하는 사람이 말하는 환경보호 측면에서 오히려 장점이 크다. 청양읍을 비롯, 남양면, 대치면 등에서 내려오는 생활 폐수 때문에 지천 계곡을 들어갈 수 가 없다”며 “완전 똥물이다. 근데 댐이 건설된다면 생활폐수 하수관로를 설치해 공동처리가 가능. 청정지천으로 복원될 것”이라고 주장했다.이성우 위원장은 또 “청양군 인구 3만 명 선이 무너졌다. 10년 이상되면 우리마을(대치면 구치리)이 소멸될 것이다. 그런데 댐 주변으로 관광 인프라가 연계되면 체류형 생활인구 영입할 수 있고 청양이 생존할 유일할 방법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 대책위는 “댐 건설로 인한 안개 피해와 환경파괴로 청양은 심각한 위기에 빠질 것”이라는 입장이다. 대책위는 이어 “전국에 댐이 건설된 곳을 보면 댐 상류지역은 규제와 안개 피해로 인한 분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하류는 농업용수 부족과 댐 방류 시 수해로 인한 분쟁과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댐을 건설해서 인구가 늘어난 지역이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청양군의 대표 농산물인 구기자와 고추, 밤, 사과, 블루베리, 메론 등 과실의 품질은 전국 으뜸인데, 안개로 인한 일조량 부족으로 농작물 결실 불량으로 이어지고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 또 주민은 호흡기 질환으로 건강이 악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돈곤 군수는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진 않았지만 기자회견장에서 “찬반 양론이 분열된 상황에서 군수가 한쪽 편에 서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군민의 뜻에 따르겠다”는 밝혔다.충남도는 ‘환영’ 입장을 밝히며 댐 건설로 충남 서남부권의 만성적인 용수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수 있으며 기업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는 댐 건설을 확정할 시 5000억 원을 투입해 댐 인근에 관광 인프라를 함께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편, 정부의 댐 건설 계획에 찬성과 반대 입장을 낸 지자체들은 다음과 같다.댐 건설 계획에 환영한 경기 연천군은 올여름 집중호우로 주택 14가구와 농경지 27㏊ 등이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 경북 김천시·예천군, 울산도 같은 입장이다. 특히 강원 삼척시는 댐 규모를 더 키워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삼척 산기천에 100만㎥ 규모의 용수 전용 댐을 짓겠다고 했는데 수해를 막기 위해선 대규모 다목적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