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내포신도시에 위치한 `KAIST 모빌리티연구소`가 대한민국 미래 첨단 모빌리티 연구 거점으로 본격 도약하고 있다.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산업통상자원부) 등 AI와 모빌리티, 로봇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충청남도(도지사 김태흠)가 온디바이스 AI부터 에너지저장장치(ESS)까지 다양한 신기술 기업을 유치하고 있다. 충청남도는 지난 14일 AI 경량화 및 최적화 분야의 유망 스타트업인 노타가 `KAIST 모빌리티연구소`에 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커팅식에는 충청남도 안호 산업경제실장, 홍성군 황선돈 혁신전략담당관, KAIST 모빌리티연구소 장기태 소장, 노타 AI 채명수 최고경영책임자(CEO), 김태호 최고기술책임자(CTO)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준비 중인 노타는 국토부로부터 지능형 교통체계 시스템(ITS) 기술 부문 `최상` 등급 평가를 받은 기업으로, 이번에 구축한 AI 학습용 GPU 서버를 통해 `AI 경량화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사업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AI 경량화 기술은 대규모 AI 모델을 소형 하드웨어에서 자체 구동(온디바이스 AI)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기술로, 소요전력 감소 및 구동속도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노타는 서버 유휴자원을 모빌리티 연구소 입주기업에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임대할 예정이어서, 창업기업의 연구개발(R&D) 및 기술사업화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충청남도와 KAIST 모빌리티연구소는 입주기업과 도내 대학 및 연구기관 등과 함께 첨단 모빌리티 분야 연구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태양광 발전시설과 연계한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ESS) 개발·실증 △친환경 AI 데이터센터 운영 모델 도입 △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한 전력망 안정·효율화 기술 △자율주행 이동로봇(AMR)을 활용한 중소기업형 자율 물류배송 실증 및 협업 시스템 기술 △안전성 강화를 위한 액침형 냉각기술 등이다. 한편, ‘KAIST 모빌리티 연구소’는 지난 해 11월 13일 개소했다. 김태흠 지사와 이광형 KAIST 총장, 이용록 홍성군수, 기업인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 체결 6개월 만에 본격 가동을 시작하며 많은 관심을 끌었다. 연구소는 연구개발, 창업지원, 투자유치 등 모빌리티 분야의 전주기 지원을 통해 산학연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개소 후 5개월 가량이 흐른 지금은 17개 기업이 입주했다. 5월 1일까지 3개 기업이 추가로 입주하여 총 20개 기업이 모이게 된다. 입주 기업들은 AI, 반도체, 무선충전, 배터리, 전기트럭, 자율주행 통신, 드론 무인제어, 농기계 모빌리티 등 다양한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고 있어, 이종산업 간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