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군수 김돈곤)의 선도적인 노인복지 정책이 우수 사례로 알려져 전국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청양군이 전국 최초로 구축한 돌봄 특화형 고령자복지주택과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의 연계 체계가 고령화 시대에 대응하는 새로운 복지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청양군 고령자복지주택은 자립이 가능한 노인에게 건강 및 여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연속적인 돌봄 환경이 구축돼 있다. 또 돌봄이 필요한 대상자에게는 노인맞춤돌봄,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등을 연계해 자립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1층의 행정지원센터는 군 통합돌봄팀과 민간 복지기관이 함께 근무하며 협력체계를 구축해 원스톱으로 상담과 서비스를 제공한다.1, 2층의 사회복지관은 통합돌봄사업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며, 통합재가센터는 장기요양 대상자에게 주간보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2층의 재택의료센터는 군 보건의료원 방문보건팀이 근무하면서 방문건강관리 및 지역사회 중심 재활 등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이 같이 고령자복지주택과 연계한 돌봄기능 강화로 무주택 취약 노인의 주거 안정성을 제고하고 고령자들에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는 주거복지를 실현해 나가고 있다.이러한 청양군의 통합돌봄 시스템 구축 과정과 체계적인 복지서비스 전달 시스템이 우수 사례로 알려지면서 이를 배우기 위한 관계 기관의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지난 2월 경남 함안군청 공무원들이 찾은 데 이어 이달에만 ▲11일 건강보험공단 세종지사 ▲17일 전북 군산시청 ▲22일 한국보건복지인재원 교육과정 교육생들이 다녀갔고, 오는 24일에는 충북자치연수원(5급승진 교육생) 방문이 예정돼 있다.22일 방문한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주관 ‘현장현답’ 노인복지현장탐구 교육과정 전국 14개 지자체 공무원 및 민간 종사자 22명은 현장에서 통합돌봄 사례를 공유하고 유사 과제를 해결하는 역량 강화의 계기를 가졌다.한국보건복지인재원의 이 교육과정은 보건복지부가 추진 중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기획된 것으로 이번 과정에는 청양군과 대전 대덕구가 우수 지자체로 참여했다. 청양군이 이처럼 주목받는 것은 고령자복지주택 내에 사회복지시설의 돌봄을 제공하는 통합돌봄 컨트롤 타워를 설치해 고령자에게 주거, 의료, 요양, 돌봄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복지시설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회적 비용을 절감한 점에도 큰 의의가 있다.군 통합돌봄과 신숙희 과장은 “내년부터 의료돌봄 통합지원이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되는 만큼 청양군도 이에 맞춰 더욱 내실 있는 돌봄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